본문 바로가기
건강

겨울철 자동차 유리 김서림 이유,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.

by 선한과학 2023. 2. 3.

겨울철 자동차 운전 중 유리에 김서림이 잔뜩 껴서 불편했던 적 다들 있으시죠??

이유는 많이들 알고 계실거예요.

실외 온도가 낮고 자동차 내부 온도가 낮아서라고 말이죠.

그런데 왜 창문 쪽으로 히터를 키면 김서림이 사라질까요?

따듯한건 마찬가진데 말이죠.

오늘 그 이유를 아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현재 밖은 영하 10도로 매우 추운날씨입니다.

이때 차에 타게되면 밖이랑 온도차이가 크게 차이가 나진 않죠.

그래서 대략적으로 영하 2도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

김서림이유-자동차

이 상태에서 우리는 히터를 켭니다.

자동차-A/C버튼

히터를 켜고 달리다 보면 서서히 실내 온도는 영하 2도에서 조금씩 올라가 어느덧 영상 20도까지 올랐습니다. 

외부와 온도차이는 처음에는 8도, 지금은 30도까지 차이가 납니다.

 

자동차-김서림현상

어느순간 이렇게 자동차 앞유리, 옆유리 모두 김서림 현상이 발생합니다.

이때 우리는 모두가 알다시피 앞유리 쪽으로 히터가 나오도록 전환합니다.

자동차-앞유리히터-버튼

그러면 어느순간 김서림 현상이 사라지는데요.

 

이 현상은 '밖이 춥고 안이 따듯해서 김서림이 생긴다' 는 말을 이해하기에는 충분치 않아보이죠.

정확히 말하자면 안쪽 창문면과 차 내부의 온도가 달라서 생기는 현상입니다.

 

김서리기 시작할 때 창문 옆으로 손을 갖다 대보시면 차가운 바람이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습니다.

즉, 바깥 쪽 유리 온도와 안 쪽 유리면의 온도차는 많이 나지 않습니다. 

그 상태에서 차 안에 있는 우리 주위의 온도는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죠.

그렇기 때문에 차 내부에 있는 대기중의 수중기가 차가운 유리면에 닿으면서 기체가 액체로 변하게 되는것이죠.

자동차-실내-김서림-이유-원인

마치 시원한 콜라를 담은 유리컵 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과 같은 원리인거죠.

콜라-물방울

이해가 확실하게 되셨나요??

 

"자동차 유리에 김서리는 이유는 자동차 내부 온도가 따뜻할 때 자동차 내부 유리면은 여전히 차가워서 대기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유리면에 닿아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것"이죠.